1. 문제의식 일반적으로 상품권 가맹점과 연관한 관광지 정보가 부족하며 ,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 정보와 지역 관광지를 별도로 분리하여 정보를 취득하므로 양자간 시너지 효과 극대화가 효율적이지 않음 . 2. 해결책 대한민국 행정구역 단위로 지역사랑상품권에 대한 홈페이지 , 일반 사용자의 체험 후기 등을 담은 URL 기반 정보를 모은 콘텐츠 꾸러미를 당사의 AI 기반 자동 콘텐츠 모음 기술 로 빠른 시간 내 큐레이팅 된 콘텐츠를 생성 및 온라인상 노출 시키고 개인화 챗봇을 통해 정보 접근성을 향상 시킴 . 3. 해결책을 구현한 제품 AI 가 URL 기반의 콘텐츠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, 큐레이터가 에디팅 하여 쉽고 빠르게 큐레이팅 콘텐츠를 구성함 . 해당 큐레이팅 콘텐츠만을 학습시킨 개인화 챗봇을 통해 개인 맞춤 공공 체육시설에 대한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는 개인화 챗봇 을 제작 . 4. 경쟁력 2 년 간 MVP 로 부터 1 만여명의 사용자와 100 만여명의 콘텐츠 소비자를 통해 검증된 콘텐츠 큐레이팅 툴 로서 한국 , 미국 , 중국에 등록된 링크기반 콘텐츠 큐레이팅 방법에 대한 특허 취득 시장성에 대한 해결 1. 정보 과잉에 대한 사용자 니즈와 지식 큐레이션 필요성 미국 정보관리업체 Opentext 에 의하면 미국 내 응답자 76% 가 정보과잉으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, 35% 가 정보과잉으로 인해 업무 시 오히려 지장을 받는다고 응답 하였음 . 또한 응답자 41% 는 업무 중 평균 1 시간 이상을 정보검색에 소요한다고 응답 하였음 . 지식 큐레이션은 ① 지식정보의 발견 및 저장 , ② 지식정보의 분별과 필터링 , ③ 지식정보의 구성 , ④ 지식정보의 공유를 기본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지식 큐레이션과 AI 의 결합은 정보 과잉 및 관리의 비효율성에서 중요한 해결방안 이 되고 있음 . 큐레이션에서 AI 가 ...